본문 바로가기
음식 꿀팁/음식 & 식재료 기타 꿀팁

죽순 나오는 시기, 가장 맛있는 때는 언제일까?

by IMISA 2025. 4. 24.
반응형

아삭한 식감과 담백한 맛으로 사랑받는 죽순, 특히 봄철이면 더 자주 식탁에 오르게 되는데요.
죽순은 채취 시기와 품종에 따라 맛과 식감이 크게 달라지기 때문에 제철을 잘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오늘은 죽순이 나오는 시기, 지역별 수확 차이, 죽순을 맛있게 즐길 수 있는 방법까지 한눈에 알아보도록 할게요.


죽순의 생장 원리 간단 정리

죽순은 대나무의 어린순으로, 땅속에서 줄기 형태로 자라다가 일정 시점이 되면 땅 위로 올라옵니다.

  • 자람 속도: 하루 최대 30cm 이상 자라기도 함!
  • 채취 시기: 흙 위로 올라오기 전 또는 바로 올라왔을 때
  • 맛있는 조건: 너무 많이 자라기 전, 부드럽고 수분이 많을 때

이 시기를 놓치면 질기고 섬유질이 많아져 식용 가치가 떨어지게 됩니다.


📅 죽순 나오는 시기 (제철 시기)

죽순은 주로 봄과 초여름 사이에 수확되며, 지역과 품종에 따라 시기 차이가 발생합니다.

지역 주요 품종 수확 시기
남부 지방 (전남, 경남) 맹종죽, 왕대 3월 중순 ~ 5월 초
중부 지방 (충청, 경기) 왕죽, 조릿대 4월 중순 ~ 6월 초
강원도 및 고지대 조릿대죽 5월 중순 ~ 7월 초

TIP:
남쪽으로 갈수록 빨리 자라고, 고지대일수록 늦게 수확됩니다.
따라서 지역에 따라 3월~7월까지 순차적으로 출하가 이루어집니다.


💡 제철 죽순 고르는 법

좋은 죽순을 고르는 기준도 알아두면 도움이 됩니다.
시기만 잘 맞춰도 훨씬 더 부드럽고 신선한 죽순을 만날 수 있어요!

✔ 고르는 요령

  • 색: 연한 갈색, 외피가 너무 말라있지 않은 것
  • 크기: 20cm 이하, 손으로 쥐었을 때 단단한 느낌
  • 상태: 밑동이 촉촉하고 묵직한 것이 수분이 많고 신선해요

❗피해야 할 죽순

  • 껍질이 너무 마르거나 검은 반점이 많은 경우
  • 너무 길게 자란 죽순 (섬유질 많고 질김)

🍽️ 죽순, 언제 먹는 게 가장 맛있을까?

죽순은 수확 후 1~2일 내에 먹는 것이 가장 맛있습니다.
시간이 지날수록 수분이 빠지고 **떫은맛(수산 성분)**이 강해지기 때문이에요.

죽순 보관 팁

  • 삶아서 냉장 보관 (3~5일 이내 섭취)
  • 삶은 후 냉동 보관 시 1개월까지도 가능

죽순요리 추천 시즌:

  • 4~6월 초까지가 가장 신선하고 다양한 요리에 활용 가능해요.

🧑‍🌾 죽순 종류별 특징 정리

죽순 종류 주요 지역 특징
맹종죽 남부지방 연하고 아삭한 식감, 향이 적음
왕대죽 중부지방 크고 질기지만 단맛이 있음
조릿대죽 강원도 작고 섬유질 많지만 향이 진함

중장년층 분들께는 부드럽고 연한 맹종죽이 특히 추천돼요! 😋


🥗 죽순, 이 시기에 꼭 먹어야 하는 이유

죽순은 단지 제철 채소가 아닌, 봄철 건강 회복을 위한 최고의 자연 식재료입니다.

죽순을 봄철에 섭취하면 좋은 이유:

  • 겨우내 부족했던 식이섬유 보충
  • 체내 노폐물 배출 촉진
  • 칼로리 낮아 다이어트식에 적합

제철 식재료는 영양이 가장 풍부할 때 수확된 것이므로,
봄철 죽순은 반드시 챙겨드시는 것이 좋습니다 💪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죽순은 1년 내내 먹을 수 없나요?
A. 생죽순은 봄철(3~6월)이 제철이며, 이외의 시기엔 대부분 냉동 또는 가공 죽순으로 유통됩니다.

Q2. 죽순을 가장 신선하게 먹으려면 어떻게 보관하나요?
A. 수확 후 바로 삶아 물에 담가 냉장 보관하면 3~5일 정도 신선도 유지됩니다.

Q3. 죽순을 먹으면 소화가 잘 안 된다고 들었어요.
A. 너무 많이 자란 죽순은 섬유질이 많아 소화가 어려울 수 있어요. 연한 제철 죽순을 삶아 부드럽게 조리하면 괜찮습니다.


마무리하며

죽순은 봄철에만 잠깐 만날 수 있는 자연의 귀한 선물입니다.
특히 45세 이상 중장년 여성분들께 필요한 장 건강, 다이어트, 노폐물 배출에 효과적인 식품이기도 하죠.

 

올해는 지역별 제철 시기를 잘 확인해서,
가장 맛있고 부드러운 죽순을 제때 챙겨보시는 건 어떨까요? 🥰

반응형